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근로·자녀장려금 소득 및 재산 기준 총 정리!

by 기록하는 해나 2025. 5. 10.
반응형

매년 국세청에서 지급하는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은 저소득 가정뿐만 아니라, 조건에 해당되는 가정 모두의 삶에 큰 보탬이 됩니다.

누구나 다 받을 수는 없기에 소득 요건과 재산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이 가장 중요하죠.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장려금 신청 자격을 아주 쉽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의 차이점 먼저 체크!

  • 근로장려금: 근로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저소득 가구 지원
  • 자녀장려금: 만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저소득 가구 대상

두 장려금은 중복 신청 가능하며, 자격요건도 일부 겹치기 때문에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분들도 많아요.

✔️ 2025 근로·자녀장려금 소득 요건

1️⃣ 근로장려금 소득 요건 (가구 유형별)

  • 단독가구: 총소득 2,200만 원 미만
  • 홑벌이 가구: 총소득 3,200만 원 미만
  • 맞벌이 가구: 총소득 4,400만 원 미만

여기서 말하는 ‘총소득’은 근로·사업·기타 소득 등 모든 과세 대상 소득의 합이에요.

건강보험료 기준이 아니라 세금 신고 기준이라는 점도 기억하세요.

2️⃣ 자녀장려금 소득 요건

  • 가구 유형과 상관없이 단일 기준 적용
  • 총소득 4,000만 원 미만이면 신청 가능

자녀장려금은 근로장려금처럼 복잡한 구분 없이, 총소득 4,000만 원 미만이라는 기준만 충족하면 됩니다.

📌 실전 예시

예시 1 : 자녀 1명을 둔 맞벌이 가정. 연 총소득이 3,500만 원이면

→ 근로장려금(맞벌이 기준 3,800만 원 미만)과 자녀장려금(4,000만 원 미만) 모두 신청 가능!

예시 2 : 소득이 4,100만 원인 홑벌이 가정

→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 모두 소득 초과로 신청 불가 ❌

✔️ 2025 재산 기준 (근로·자녀장려금 공통)

  • 2024년 6월 1일 기준 재산 합계가 2억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 재산에는 다음 항목이 포함돼요:
    • 부동산 (주택, 토지 등)
    • 자동차
    • 금융자산 (예금, 적금, 주식, 채권 등)
    • 전세보증금 등 기타 자산

여기서 말하는 재산은 ‘공시가격’이나 ‘시세’ 기준이 아니라, 국세청이 내부 기준으로 평가한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돼요.

📌 재산 기준이 넘으면 어떻게 될까?

재산이 2억 원 이상이면 장려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돼요. 하지만 1억 4천만 원~2억 원 사이면 장려금이 감액됩니다.

예를 들어 원래 100만 원을 받을 수 있다면, 일부 깎여서 70만 원만 받을 수도 있는 구조예요.

Q&A 자주 묻는 질문

Q. 자동차도 재산에 포함되나요?

A. 네, 자동차도 시가 기준으로 포함되며, 경차나 오래된 차량도 예외가 아닙니다.

Q. 주택 전세보증금은 재산으로 계산되나요?

A. 네. 전세보증금도 부동산과 동일하게 포함돼요.

Q. 부모님과 같이 사는 경우, 부모 재산도 포함되나요?

A. 주민등록상 ‘가구원’에 해당된다면 부모 재산도 포함됩니다. 단, 세대 분리가 되어 있다면 제외될 수 있어요.

✔️ 요약정리

  • 근로장려금 소득 요건: 단독 2,200 / 홑벌이 3,200 / 맞벌이 3,800만 원 미만
  • 자녀장려금 소득 요건: 총소득 4,000만 원 미만 (가구 구분 없음)
  • 재산 기준: 2억 원 미만 / 1억 4천만 원~2억 원은 감액 적용
  • 부동산·자동차·예금·전세보증금 모두 포함

장려금은 소득과 재산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만 지급됩니다.

조건이 애매하다면 홈택스의 모의 계산기를 통해 미리 확인해 보는 것도 좋아요.

(TMI  저는 확인해 보니 아쉽게 대상자가 아니라고 하네요..ㅎ)

 

매년 받을 수 있는 귀한 혜택, 놓치지 말고 꼼꼼히 체크해 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