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실업급여 수령 금액 총정리

by 실업급여24 2025. 7. 13.
반응형

나도 도대체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
얼마 전 회사 퇴사하고, 실업급여 신청을 준비 중인 평범한 30대입니다.
요즘 제일 많이 검색한 단어가 뭐냐면… 바로 “실업급여 얼마 받나요?”예요. 😅

솔직히 '6개월만 다니면 실업급여받을 수 있다'는 건 알고 있었는데,
“얼마를, 몇 개월 동안 받을 수 있는지”는 하나도 감이 안 오더라고요.

 

그래서 저처럼 막 퇴사했거나 퇴사 예정이신 분들을 위해
2025년 최신 실업급여 금액표와 계산 방법을 쉽고 정확하게 정리해 볼게요! 😊

 

실업급여 수령금액 계산 쉽게 하는 방법(2025년 최신)


✅ 실업급여, 어떻게 계산될까?

실업급여는 ‘평균임금의 60%’를 기준으로 계산돼요.
여기서 말하는 평균임금은 퇴사 직전 3개월간 받은 총 급여 ÷ 총일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퇴사 전 3개월 동안 총급여가 600만 원이었다면,
👉 평균임금은 약 66,666원
👉 실업급여는 그 60%인 약 40,000원/일 정도가 됩니다.


💸 2025년 실업급여 금액표 기준 (1일 지급액)

항목금액
지급률 평균임금의 60%
1일 최대 금액 79,000원 (2025년 기준 상한)
1일 최소 금액 65,040원 (2025년 최저임금의 80%)
 

📌 주의할 점은, 아무리 고소득자라도 하루 최대 7만 9천 원까지만 받을 수 있고,
반대로 급여가 낮더라도 하루 최소 6만 5천 원 이상은 보장된다는 거예요.

 

실업급여 총정리 - 수급 자격부터 신청 방법까지(2025년 7월 최신)


🗓️ 얼마나 오래 받을 수 있을까?

지급 기간은 나이 + 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라 달라져요!


여기 기준표를 참고해 보세요 👇

🔹 2025년 실업급여 지급일수 표

 

고용보험 가입기간 50세 미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미만 120일 120일
1년 이상 ~ 3년 미만 150일 180일
3년 이상 ~ 5년 미만 180일 210일
5년 이상 ~ 10년 미만 210일 240일
10년 이상 240일 270일
 

예를 들어,
30대 여성이고 4년 2개월 근무했다면 → 180일 동안 실업급여 수급 가능!
하루에 약 4만 원씩 180일이면... 약 720만 원 정도를 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되죠 😮

 

실업인정일 필수 체크리스트(2025년 6월 최신)


🧾 실업급여 실제 계산 예시

사례 1 – 월급 250만 원 근무자 (평균임금 83,000원 가정)

  • 60% = 49,800원 → 하지만 상한선 79,000원 이 내니까 전액 지급
  • 수급 기간 150일이면 → 약 747만 원 수령

사례 2 – 아르바이트생, 평균임금 60,000원 (최저임금 수준)

  • 60% = 36,000원 → 하지만 최저선 65,040원 적용
  • 수급 기간 120일이면 → 약 780만 원 수령 (최저 보장!)

※ 반대로 너무 고소득이면 79,000원 상한선이 적용되어 "일부 삭감"될 수 있어요.


📌 실업급여 많이 받으려면?

  1. 이직 전 평균임금 관리가 중요
    퇴사 직전 급여가 깎이면 평균임금도 줄어듭니다 😢
  2.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 가입해야 수급 가능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날만 인정돼요!
  3. 비자발적 퇴사여야 수급 자격 OK
    자발적 퇴사는 제한이 많아요. 인정사유 확인 필요!

실업급여 중 아르바이트하고 감액 없이 받은 경험담


✨ 마무리 한마디

실업급여는 내가 낸 고용보험료로 받는 ‘당연한 권리’ 예요.
하지만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정확히 얼마인지” 아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지 않더라고요.

 

2025년부터는 상한선과 하한선도 각각 올랐고,
고용 24 통합 플랫폼으로 신청도 훨씬 쉬워졌어요.

막 퇴사하셨거나 고민 중이라면,
지금 내 예상 수령액부터 꼭 확인해 보세요!

 

반응형

> >